 |
 | 충렬공 충익공 양충신의 위패를 모신 예연서원 | |
|
예연서원
지정번호 : 기념물 제11호
지정년월일 : 1987년 5월13일
시대 : 조선 광해군9년(1617)현풍면 대리건립
숙종41년(1715) 현위치 이전
규모 : 1,854평, 건물8동(50평)
|
 |
|
|
서원은 임진왜란때 선무원종1등공신인 의병대장 충익공 망우당 곽재우선생의 위패를 봉안하기 위하여 광해군10년(1618)에 충현사를 건립하고 현종15년(1674)에 당시 현감 유천지가 규모를 확장한데서 비롯되었다.
정유재란때 안음현감으로 황석산성의 수성장을 제수받고 장렬한 최후를 마친 곽재우선생의 재종숙 존재 곽준 선생의 위패를 봉안 하였 는데 숙종3년(1677)에 예연서원이라 사액됨으로써 사액서원이 되었다.
1977년에는 6.25동란으로 소실된 강당과 삼문을, 1984년에는 사당을 복원하여 옛모습을 찾아 오늘에 이른것이다. |
 |
|
 | 배향(配享)인물 | |
|
1. 충렬공 휘 준 (忠烈公 諱 梭 : 호 存齋존재) : 십이정려 사적 참조.
2. 충익공 휘 재우(忠翼公 諱 再祐 : 호 忘憂堂망우당) : 충익사 참조.
|
|
 | 존재선생 실기 책판 |
|
지정종별 :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0호
(1995. 5. 12 지정)
보관장소 : 달성군 유가면 가태리 539 (예연서원)
|
|
|
|
1766年에 새긴 곽준의 실기책판이다. 곽준(1551-1597)은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이었던 곽재우의 종숙이며 호는 존
재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나 의병장 김면이 의병을 규합하자 참가하여 거창 등지에서 왜적과 싸워 많은 공을 세웠다.
1597年 정유재란시 안음현감으로서 영남과 호남의 길목인 함양의 황석산성을 지키던 중 가토 휘하의 왜군과 격전을
벌였으나 수적 열세를 극복하지 못하고 아들 이상, 이후 등과 함께 전사하였다. 그 뒤 병조참의에 증직되고 충렬이란
시호가 내려졌으며 현풍의 예연서원 에 배향되었다.
본 실기는 공의 임진왜란 때 의병활동과 충절사실이 담긴 것으로 숙종 21年(1695)에 편찬되었고 현존하는 책판은
총61매이며 영조 42年(1766)에 판각되었다.
|
 |
|
|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가태리 539 새주소 : 달성군 유가면 달창로45길 123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