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풍(포산)곽씨 대종회
New Document
> 문중뿌리알기 > 유적/유물

충익사

지도보기
경역 : 23,600㎡(7,140평), 건물 9동,
조경수목 5,000여본
이곳은 임진왜란때 최초로 의병을 일으켜 나라를 지켰던 홍의장군 곽재우(1552~1617)와 그 휘하 장병들의 위 패를 모신 사당이다. 곽재우 장군은 명종 7년(1552) 경상남도 의령군 유곡면 세간리에서 출생하였는데 문무에 다같이 뛰어났으나, 관직 없이 초야에서 지냈다. 선조 25년(1592) 4월 13일 왜병이 침입하여 서울로 진격해오자 “나라를 지키는 일을 관군에게만 맡길 수 없다” 고 분연히 일어나 전국 최초로 의병을 일으켜 왜병의 침공을 막았다. 장군은 홍의에 백마를 타고 휘하에 17명의 장수와 수천의 의병을 거느리면서 정암진, 기강, 현풍, 창녕, 화왕산성, 진주성 등의 전투에서 실로 신출귀몰하는 전략, 전술로 적을 크게 무찌르고 백전백승함으로써 왜병의 전라도 진격 을 저지하였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 진주목사를 지냈고, 한성부 우윤, 함경도 관찰사를 일시 역임하였다. 장군은 사후에 병조판서 겸 지의금부사에 추증되었다. 장군의 추모행사는 1972년 이래로 매년 거행하며 1978년 이곳에 사당을 마련하였 다.

연혁

1972. 4. 22 : 의병기념사업회 구성, 주민성금으로 의령 남산아래에 의병탑 건립
1976. 9. 14 : 국가차원의 정화사업 결정
1977. 10. 5 : 정화사업 착공
1978. 12. 22 : 정화사업 완료

충익사 소개

망우당 곽재우 장군과 17장령의 위훈을 기리고 영혼을
추모하기 위하여 1972년 건립한 탑이다.
탑의 높이는 27m이며, 가운데 둥근 18개의 백색환은
곽재우 장군과 17장령을 뜻하고, 양쪽 기둥의 팔짜형은 횃불을 상징한다
이 정화기념비는 곽재우 장군과 17장령 및 수많은 무명 용사들의 공적을 후손들에게 알리기 위한 비로 1978년 12월 22일 제막하였다. (지은이 : 노산 이은상, 글쓴이 : 우죽 양진니). 바로 옆에는 의병장들의 시효가 새겨진 명 판을 게시하고 있는 충의각이 자리잡고 있다.
다포팔작식 목조건물이 있는데 이곳이 곽재우 장군과 17장령의 증직명과 관향 등이 적힌 명판을 보관한 충의 각이다. 충의각은 어느 한 곳에도 쇠못을 치지 않은 우리 나라 전통 목조건물의 건축양식으로 지어졌다

지도

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 가태리 539
새주소 : 달성군 유가면 달창로45길 123
지도 크게 보기
2012.10.31 | 지도 크게 보기 ©  NHN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