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풍(포산)곽씨 대종회
New Document
> 문중뿌리알기 > 유적/유물
목록

망우당 郭再祐 遺物

지도보기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중동리에 위치한 충익사(忠翼祠)에는 곽재우의 여러 유물이 소장되어 있다. 곽재우가 임진왜 란 당시 사용하였던 장검(長劍), 마구(馬具) 및 평소 사용하였던 포도연(葡萄硯), 사자철인(獅子鐵印), 화초문백자팔 각대접(花草紋白磁八角大摺), 갓끈 등 모두 6점인데, ' 곽재우장군의 일괄 유물 '이라 하여 보물 제671호로 지정되어 있다. 이 모든 유물은 대구 유가면 원산의 정암공(충익공의 부친) 종손이 기증한 것이다.
보물 제 671호
장검(長劍)
이 장검은 길이 86cm, 너비 3cm, 자루 16cm의 크기로서, 칼과 칼집이 한 쌍으로 되어 있고 보존 상태는 비교적 양호 한 편인데, 손잡이 부분은 나무로 되어 있고, 겉은 가죽끈을 교차하여 감았으며, 칼등은 위로 조금 휘어져 있고 칼집 은 윗부분이 약간 부식되어 떨어져 있기 때문에 1973년에 마광(磨光) 처리하여 보관하고 있다.
칼집의 윗부분 일부가 부식되어 탈락되었고, 그 아래 간격을 두고 2개의 구리테(銅製環)를 돌렸는 데, 그 상부에는 각 각 여의두형(如意頭形)의 고리가 붙어있어 끈을 묶었던 것으로 보인다. 칼집 맨 하단부에는 반원형의 구리장식이 부 착되어 있고, 그 앞뒷면을 화형문으로 선각장식하였다.
마구(馬具)
곽재우가 타고 다니던 말안장(鞍裝)으로서 부식상태가 심하여 1973년 8월에 완전 살균처리를 한 후 보관하고 있다
포도연(葡萄硯)

세로 31.5cm, 가로 21cm, 두께 3cm 크기의 이 벼루는 흑요암(黑瑤岩)으로 만들었으며,
벼룻물을 담는 연지는 초승달 모양으로 그 주변은 포도와 덩굴무늬를 입체감 있게 새겨 넣었다.
거북무늬가 8각으로, 그 윗부분 두 곳에 작은구명이 뚫려 있는 직사각형의 연적(硯滴) 역시 흑요암으로 만들었다.
벼루와 함께 곽재우가 그의 부친 (정암공 越)과 함께 중국 명나라에 갔을 때 황제로부터 하사받은 것이라고 전해진다.
사자철인(獅子鐵印)
높이 3cm, 지름 3.5cm의 사자 철인는 철제로 만들어진 작은 인장으로, 손잡이 윗부분에 사자상을 조각하였다.
갓끈

갓끈은 금파와 대나무, 호박 등으로 만들어졌으며, 모두 4종류이다. 각각 길이가 75cm, 25cm, 165cm, 168cm 의 길이이다.
화초문백자팔각대접(花草紋白磁八角大蝶)
이 유물은 백자로 된 소형의 팔각 대접으로 높이 6.5cm, 윗지름 21.5cm, 밑지름 12.5cm 크기에 팔각의 각 면마 다 풍경과 화초무늬를 그렸는데, 중국 명나라 황제로부터 하사받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출처 : http://blog.daum.net/0118983530/8438460
유물들이 개별로 잘 촬영되어 글 중 원글의 일부를 가져 왔습니다.

지도

소재지 :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중동리에 위치한 충익사
지도 크게 보기
2012.11.11 | 지도 크게 보기 ©  NHN Corp.